◇ 한라산
• 현황
한라산은 제주도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순상화산의 중심봉우리이다. 제주 도의 상징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한라산은 해발 1950m로 한반도 이남 에서 제일 높고 정상부의 백록담분화구와 영실기암의 가파른 암벽과 약 40여개의 오름(분석구) 등 다양한 화산지형을 갖고 있다. 백록담은 화구 의 서쪽 절반은 조면암으로 동쪽 절반은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는 매 우 독특한 구조로 이루어진 분화구이다. 형성과정은 조면암질용암돔이 형성된 이후 현무암질용암이 분출하여 분화구가 완성되었다. 특히 독특 한 화산지질 및 화산지형과 더불어 난대류, 온대류, 한대류 등 식물다양 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식생 4천여 종의 절반이 넘는 2천여 종 이상의 식생이 서식하고 있는 자연의 보고이다.
• 지정현황
→ 1966년 10월 12일 : 천연보호구역 지정(천연기념물 제182호)
→ 1970년 03월 24일 : 국립공원 지정(건설부 고시 제28호)
→ 2002년 12월 16일 :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
‧ 한라산천연보호구역(해발 600m 이상 구역)
‧ 영천‧효돈천
‧ 문섬, 범섬, 섶섬
※ 확대지정 : 2019. 6. 19
※ 면 적 : 387,194ha (제주도 전체와 해안선에서 5.5km 이내의 해양구역 포함)
→ 2007년 07월 02일 :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
‧ 등재명칭=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
‧ 등재유산 : 한라산천연보호구역
성산일출봉응회구
거문오름용암동굴계
→ 2008년 10월 13일 : 물장오리오름 람사르습지 등록
→ 2009년 10월 12일 : ‘1100고지 습지로’ 람사르습지 등록
→ 2010년 10월 01일 :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
(한라산 외 총 13개 대표 지질명소)
• 주요구간 탐방안내
→ 어리목탐방로 : 편도 6,8㎞. 왕복 6시간소요.
어리목입구에서 남벽분기점까지.
→ 영실탐방로 : 편도 5,8㎞. 왕복 5시간소요.
영실입구에서 남벽분기점까지.
→ 성판악탐방로 : 편도 9,6㎞. 왕복 8시간소요.
성판악입구에서 백록담정상까지.
→ 관음사탐방로 : 편도 8,7㎞. 왕복 8시간소요.
관음사입구에서 백록담정상까지.
◇ 거문오름용암동굴계
• 현황
거문오름용암동굴계는 거문오름에서 수차례에 걸쳐 분출한 용암류가 지 형적인 경사면을 따라 약 14㎞ 떨어진 해안까지 흘러가면서 형성된 용 암동굴군을 말한다.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대표적인 용암동 굴은 아래와 같다.
• 비공개동굴 : 벵뒤굴, 웃산전굴, 북오름굴, 대림굴, 김녕굴, 용천동굴, 당처물동굴.
• 일부공개동굴 : 만장굴(총길이 7,4㎞ 중 제2입구에서 1㎞ 구간 공개)
◇ 유네스코 등록유산 현황
제주도 생물권 보전지역
- 지 정 일 : 2002. 12. 16.
- 확대 지정 : 2019. 06. 21.
- 지정 면적 : 387,194 ha (제주도 육상전역 및 5.5㎞ 이내 해양구역)
핵심구역 (39,951 ha) |
한라산국립공원, 영천, 효돈천, 문섬 습지보호지역, 생태계보전지구(1‧2등급),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, 천연기념물, 천연보호구역, 해양보호구역 |
완충구역 (72,286 ha) |
핵심구역을 제외한 국내법에 의해 보호받는 지역 2009년 생태계 서식처질 평가 결과 우수지역(법정보호지역제외) 핵심구역 경계로부터 100m이내 지역 |
협력구역 (274,957 ha) |
육지부: 핵심구역과 완충구역을 제외한 제주도 전체지역 해양부: 본도 경계 및 해양 핵심구역과 완충구역 경계 5.5㎞ 이내 지역 |
※ 세계생물권보전지역 지정 현황 : 124개국 701개 지역.
※ 한국 8곳 : 설악산, 백두산, 제주도, 구월산, 신안다도해, 묘향산(북한), 광릉숲, 고창군.
제주 세계자연유산
- 등 재 일 : 2007. 7. 2. (재평가 2012. 7. 1. 등재확대 2018. 7. 2.)
- 유산명칭 :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
- 유산면적 : 188.5㎢ (핵심지역 95.2㎢, 완충지역 93.3㎢)
구 분 | 천연기념물 지정현황(지정년도) | |
한라산 천연보호구역 | 제 182호(1966년) | |
성산일출봉 응회구 | 제 420호(2000년) | |
거 문 오 름 용암동굴계 |
거문오름 | 제 444호(2005년) |
김녕굴 및 만장굴 | 제 98호(1962년) | |
벵뒤굴 | 제 490호(2008년) | |
당처물동굴 | 제 384호(1996년) | |
용천동굴 | 제 466호(2006년) | |
웃산전굴, 북오름굴, 대림굴 | 제 552호(2017년) |
※ 세계유산 등재현황 : 167개국 1,121건(문화869, 자연213, 복합39)
- 한국 총15건(문화13, 자연2 : 한국의 갯벌=서천, 고창, 신안, 보성˙순천)
제주도 세계지질공원
- 인 증 일 : 2010. 10. 1. (재 인증 : 2014. 9. 22, 2019. 1. 1.)
- 대상지역 : 제주도 전체(대표명소 : 13개소)
구 분 | 천연기념물 지정현황 | 구 분 | 천연기념물 지정현황 |
한라산국립공원 | 제182호(1966년) | 산 방 산 | 제376호(1966년) |
성 산 일 출 봉 | 제420호(2000년) | 용머리해안 | 제526호(2010년) |
만 장 굴 | 제 98호(1962년) | 수 월 봉 | 제513호(2009년) |
서귀포 패류 화석층 | 제195호(1968년) | 우 도 | 제438호(2004년) |
천 지 연 폭 포 | 제379호(1966년) | 비 양 도 | 제439호(2004년) |
대포동 주상절리대 | 제443호(1998년) | 선흘곶자왈 | 도 지 정 문 화 재 |
교래 삼다수 마을 | - |
※ 세계지질공원 현황 : 41개국 147개소,
우리나라 국가지질공원 13곳(한국세계지질공원 4곳 : 제주도, 경북청송군, 광주무등산권, 한탄강)